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SS7

● SS7 망 구조

▷ SSP(Service Switching Point)
- 호를 인식하고 필요한 제어정보를 SCP에 요구함. 
- 요구한 정보에 대한 응답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서비스를 완성시켜주는 교환기임.
- 망 교환기능 수행
▷ STP(Signaling Transfer Point)
- 신호 메시지 전달만을 전담하는 신호점을 의미.
- 시스템 측면에서 신호중계교환기 역할을 함.
▷ SCP(Service Control Point)
- 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 보유.
- SSP의 호처리 지시요구에 호 완성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
- 서비스 제어기능 수행.

● SS7 프로토콜 구조

▷ MTP1(Message Transfer Part1)
- 디지털 시그널 링크의 물리적, 전기적인 요소를 지정함.
- OSI 물리계층과 유사함.
▷ MTP2(Message Trasfer Part2)
- 시그널 링크의 end to end간의 전송을 보장함.
- 흐름제어, 에러제어, 메시지 순서 검증등 역활을 함.
▷ MTP3(Message Transfer Part3)
- 신호 포인트 사이에서 라우팅 기능을 제공함.
- 신호 망관리 기능을 수행함.
▷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 OSI 전송계층의 기능을 수행함.
- 연결형,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함.
▷ ISUP(ISDN User Part)
- ISDN 사용자의 회선 교환형 연결설정 요청을 처리함.
- ISDN 연결 설정에 사용되는 신호처리 절차를 정의함.
▷ TUP(Telephone User Part)
- 기본 Call Precessing을 지원함.
- 아날로그 회로만 관장함.
▷ TCAP(Transaction Capabilities Application Part)
- TCAP는 지능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 컴포넌트 부계층: 원격지의 명령이나 결과 전송이 가능을 함.
- 트랜잭션 부계층: 트랜잭션의 시작, 끝, 중단 등의 기능을 함.


* 참고. OSI 7 Layer

- Physical Layer : 상위 계층에서 받은 frame data를 물리적인 장비로 송수신하기 위한 역할. 그 기준들을 정의하는데 케이블에 대한 종류, 최대 전송거리등을 정의한다. 데이타에 대해서는 신호유형, 신호레벨, 신호변경주기, 데이타 전송률이 있다.

- Data Link Layer : 데이타가 Physical Layer를 통해서 들어오고 나가는 흐름을 전체적으로 관망하는 역할.
LLC계층: Network Layer와 관련.
MAC계층: Physical Layer와 관련. NIC(Network Interface Card)와 직접적인 관련.
Network Layer에서 받은 데이터를 frames라는 단위로 변환하여 최하위 Physical Layer으로 보낸다. 이 계층에 속하는 장비로는 Switch, Bridge가 있다. 이 계층에 관련되는 것은  CRC(Cyclical Redundancy Check)가 있다.

- Network Layer :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 Routing에 관해서 언급.
대표적 프로토콜은 IP(Internetwork Protocol),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Transport Layer : 데이터 전송과 그 흐름을 담당하는 계층. 데이터를 잘게 쪼개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중간에 유실이나 중복 또는 에러 없이 전송되도록 제어.
대표적 프로토콜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SPX(Sequenced Packet Exchange)
Router 장비는 이 계층에 속한다.

- Session Layer : 통신하는 양쪽 시스템의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연결을 제어하는 기능
주요 기능으로 연결설정, 유지, 종료, 강제종료, 재연결, Dialog Control 등이 있다. 대표적인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로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RPC(Remote Procedure Call), DNA SCP(Digital Network Architecture Session Control Protocol), ASP(AppleT!alk Session Protocol), NetBIOS(Network Basic Input Output System)
 Socket 프로그래밍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현할수 있다

- Presentation Layer : 이기종간 통신을 위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일정한 포맷으로 Translation한다. 
대표적 인터페이스로는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TIFF(Tagged Image File Format),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EBCDIC(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encryption,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Application Layer :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종 사용자와 직접 접해 있는 계층.
대표적 프로토콜은 Telnet, WWW browser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eansfer Protocol), NFS(Network Fil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