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백업하거나 다른 데이터를 불러와서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경우 보통 시스템 상의 스케줄러를 사용한다.
unix, linux 계열은 crontab을 사용할 것이고
windows 계열은 scheduler를 이용하면 될것 같네요..
1. unix, linux 계열
1) 현재 cron deamon이 돌고 있는지 확인
ps -ef | grep cron
2) cron deamon kill
kill -9 "pid of cron"
3) deamon 재실행
/usr/sbin/cron
4) 명령어 위치
/usr/bin/crontab
5) 사용형식
crontab [ -u 사용자ID ] 파일
crontab [ -u 사용자ID ] { -l | -r | -e }
1. 개요
cron(크론)은 원하는 시간에 명령(프로그램)을 시키기 위한 데몬이다.
서버는 늘 깨어있다는 것을 이용한 최대한의 활용법이 될 수 있다.
- 내가 새벽 3시에 서버에 특정 작업을 해줘야하는데 그 때 깨어있을 수 있는가?
- 또는 30분 간격으로 HDD의 사용량을 운영자에게 알리도록 해야한다면?
- 매월 초에 자료를 백업 받고 싶다면?
바로 이럴 때 cron은 최고의 해결책을 제시한다.
cron은 항상 지정한 시간이 되었는지 확인을 하여 해당 명령어을 실행하는 것이다.
시스템의 최적화의 기법은 일정 시간 단위로 최대한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즉, 주기적으로 운영 중에 만들어진 필요하지 않는 임시 파일을 정리하거나, 운영체제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리눅스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2. cron 설정
1) crontab 파일 위치 및 조회
작업 설정 파일을 crontab 파일이라고 부르며, 이 파일의 위치는 OS별로 차이가 있다.
리눅스는 /var/spool/cron/ID, 솔라리스는 /var/spool/corn/crontabs/ID에 위치한다.
그럼 이 파일을 직접 수정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crontab 명령을 통해 설정과 조회를 한다.
crontab 설정 파일을 새롭게 편집하고자 한다면 -e 옵션을 주고, 수정하기 전에 현재 등록된 내용을 보고자 한다면 -l 옵션을 사용하며, 등록된 내용을 삭제하려면 -d 옵션을 사용한다
설정 내용을 조회해 보자(-l 옵션).
$ crontab -l
no crontab for truefeel
설정한 적이 없어 아직 비어있다.
- /etc/crontab 파일
- /etc/rc.d/init.d/crond 스크립트
- /var/spool/cron 디렉토리 내의 크론 설정 파일들
2) crontab 파일 형식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첫 번째 분 0-59
두 번째 시 0-23
세 번째 일 0-31
네 번째 월 1-12
다섯 번째 요일 0-7 (0 또는 7=일요일, 1=월, 2=화, ...)
여섯 번째 명령어 실행할 명령을 한줄로 쓴다.
---------- ---------- ---------------------------------------------------
- 모든 엔트리 필드는 공백으로 구분된다.
- 한 줄당 하나의 명령 (두줄로 나눠서 표시할 수 없음)
- # 으로 시작하는 줄은 실행하지 않는다.
설정을 해보자. (-e 옵션)
crontab -e을 하면 vi 에디터가 나온다(환경변수 EDITOR에 따라 다른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다).
$ crontab -e
# /home 디렉토리를 /BACKUP/home으로 백업해둠
#
# 30분, 새벽 4시와 낮 12시, 모든 일, 모든 월, 모든 요일
30 4,12 * * * /usr/bin/rsync -avxH --delete /home /BACKUP/home > /dev/null 2>&1
#
# 파일/디렉토리 퍼미션 설정
# 40분, 새벽 1시, 매주 일요일
40 1 * * 0 /root/bin/perm_set.sh > /dev/null 2>&1
위는 매일 4:30분과 12:30분에 rsync 명령을, 매주 일요일 1:40분에 perm_set.sh를 실행함을 의미한다.
3) 설정 예
시간 설정에서 몇가지 의미있는 것들을 알아보자.
- '*'표시는 해당 필드의 모든 시간을 의미한다.
- 3,5,7와 같이 콤마(,)로 구분하여 여러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다.
- 2-10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도 지정할 수 있다.
- 2-10/3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를 슬래쉬(/)로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2~10시까지 3시간 간격으로. 즉, 3, 6, 9시를 의미함).
원하는 시간 형 식
매주 토요일 새벽 2:20 20 2 * * 6 명령어
매일 오후 4,5,6시 0 4-6 * * * 명령어
매일 2시간 간격으로 5분대에 5 */2 * * * 명령어
매월 1일 새벽 1:15 15 1 1 * * 명령어
1,7월 1일 새벽 0:30 30 0 1 1,7 * 명령어
4) /etc/crontab 파일로 설정
매시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 설정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 매일 매시 01분마다 /etc/cron.hour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일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 매일 새벽 4시 02분마다 /etc/cron.dai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주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 매주 일요일 새벽 4시 22분마다 /etc/cron.week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월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매월 1일 새벽 4시 42분마다 /etc/cron.month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 root 이외의 사용자에게 crontab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
- /etc/cron.allow 파일에 사용자의 id를 등록
* 일반사용자의 crontab 명령어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면
- /etc/cron.deny 파일에 사용자의 id 를 등록
1) cron 설정한 후에는 crond 데몬을 재실행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crontab -e 으로 설정 후 빠져나오면 바로 적용됩니다.
2) truefeel 사용자는 cron을 못 쓰게 하고 싶습니다.
/etc/cron.allow : 허용할 사용자 ID 목록
/etc/cron.deny : 거부할 사용자 ID 목록
cron.allow 파일이 있으면 이 파일에 들어있는 ID만 사용 가능
cron.deny 파일이 있으면 이 파일에 들어있는 ID는 사용 불가
따라서 cron.deny에 truefeel ID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3) > /dev/null 2>&1 이 무슨 뜻입니까?
지정한 명령어 처리 결과와 발생할지 모르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모두 버린다는(/dev/null)는
뜻입니다. 만약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저장하려면 /dev/null 대신 파일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2. windows
at
.역활 : 스케줄러? 일정관리기 같은 기능입니다.
-도움말-
AT 명령은 프로그램과 명령이 지정된 시간과 날짜에 실행되도록
일정을 만듭니다. AT 명령을 사용하려면 일정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어야 합니다.
AT [\\컴퓨터이름] [ [id] [/DELETE] | /DELETE [/YES]]
AT [\\컴퓨터이름] 시간 [/INTERACTIVE]
[ /EVERY:날짜[,...] | /NEXT:날짜[,...]] "명령"
\\컴퓨터이름 원격 시스템을 지정합니다. 이 매개 변수를 생략하면,
로컬 컴퓨터에 대한 일정이 됩니다.
id 예약된 명령에 지정된 식별 번호입니다.
/delete 예약된 명령을 취소합니다. id를 생략하면,
해당 컴퓨터에 예약되어 있는 모든 명령이 취소됩니다.
/yes 예약된 모든 작업을 취소할 때, 더 이상 확인하지 않을 경우
yes로 지정합니다.
시간 명령을 실행할 시간입니다.
/interactive 작업이 실행될 때 로그온한 사용자의 데스크톱과
대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every:날짜[,...] 매주 또는 매달 지정된 날짜에 명령을 실행합니다.
날짜를 생략하면, 현재 날짜로 가정합니다.
/next:날짜[,...] 돌아오는 지정 요일에(예들 들어, 다음 목요일),
지정된 명령을 실행합니다.
날짜를 생략하면, 현재 날짜로 가정합니다.
"명령" 실행될 Windows NT 명령이나 일괄 프로그램입니다.
* 날짜 부분에서 특정 요일별로 하려면 요일별 약어를 입력하여야 한다.
Day(s) are in this format: (English Locale EN)
Monday = m
Tuesday = t
Wednesday = w
Thursday = th
Friday = f
Saturday = s
Sunday = su
* 스케줄러 예약 확인
c:\>at
...
현재 예약 된 스케줄러가 나타납니다.
* 스케줄러 예약 추가.(매일 실행)
c:\>at 00:00 /every:m,t,w,th,f,s,su c:\backup\start_backup.cmd
* 스케줄러 예약 추가.(특정 요일)
c:\>at 00:00 /every:th c:\backup\start_backup.cmd
* 스케줄러 예약 추가 (다가오는 요일)
c:\>at 00:00 /next:th c:\backup\start_backup.cmd
=다가오는 목요일날 00시 실행
* 스케줄러 예약 추가 (다가오는 날짜)
c:\>at 00:00 /next:7 c:\backup\start_backup.cmd
=다가오는 7일날 00 시 실행
* 스케줄러 예약 추가 (다가오는 시간)
c:\>at 00:00 /next: c:\backup\start_backup.cmd
=다가오는 00:00에 실행
* 스케줄러 삭제
c:\>at /delete /yes
해버리면 ...다 삭제 되기 때문에 -_-;;;; 되도록이면 이건 자제
* 스케줄러 단일 삭제
c:\>at ID /delete
현재 스케줄러에 예약된 예약 번호를 적어주면 그 예약만 취소한다.
3. 자바 스케줄러 이용 (Quartz사용)
Quartz는 오픈 소스 작업 스케줄링 프레임워크이다. Quartz는 완전히 자바로 작성되어 있으며, J2SE와 J2EE 어플리케이션 모두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Quartz는 매우 유연하며 단순한 구조를 제공한다. 간단한 작업은 물론 복잡한 작업 모두에 대한 스케줄링을 작성할 수 있다. Quartz는 또한 EJB, JavaMail 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지원, 클러스터링, 플러그 인, 미리 내장된 작업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cron과 유사한 표현식도 지원한다. |
public void execute(JobExecutionContext context) throws JobExecutionException; |
#===============================================================
# Configure Main Scheduler Properties
#===============================================================
org.quartz.scheduler.instanceName = QuartzScheduler
org.quartz.scheduler.instanceId = AUTO
#===============================================================
# Configure ThreadPool
#===============================================================
org.quartz.threadPool.class = org.quartz.simpl.SimpleThreadPool
org.quartz.threadPool.threadCount = 5
org.quartz.threadPool.threadPriority = 5
#===============================================================
# Configure JobStore
#===============================================================
org.quartz.jobStore.misfireThreshold = 60000
org.quartz.jobStore.class = org.quartz.simpl.RAMJobStore |
0 15 10 ? * MON-FRI |
0 15 10 ? * 6L 2002-2005 |
public class ScanFTPSiteJob implements Job {
private static Log logger = LogFactory.getLog(ScanFTPSiteJob.class);
/*
* 정확한 시간에 스케줄러 프레임워크에 의해 호출된다.
*/
public void execute(JobExecutionContext context) throws JobExecutionException {
JobDataMap jobDataMap = context.getJobDataMap();
try {
// FTP 사이트에서 파일들 검사
File[] files = JobUtil.checkForFiles(jobDataMap);
JobUtil.sendEmail(jobDataMap, files);
} catch (Exception ex) {
throw new JobExecutionException(ex.getMessage());
}
}
} |
public class MyQuartzServ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QuartzServer server = new MyQuartzServer();
try {
server.startScheduler();
} catch(SchedulerException ex) {
ex.printStackTrack();
}
}
protected void startScheduler() throws SchedulerException {
// 팩토리를 사용해 Scheduler 인스턴스를 생성
Scheduler scheduler = StdSchedulerFactory.getDefaultScheduler();
// JobDetail은 Job들에 대한 정의를 포함한다.
JobDetail jobDetail = new JobDetail("ScanFTPJob", Scheduler.DEFAULT_GROUP,
ScanFTPSiteJob.class);
// execute() 내에서 사용될 job 파라미터들을 저장
jobDetails.getJobDataMap().put("FTP_HOST", "\home\cavaness\inbound");
// 여기에 Job 파라미터들에 필요한 기타 다른 내용들이 온다.
// 매 60초마다 발생하는 Trigger 인스턴스 생성
Trigger trigger = TriggerUtils.makeSecondlyTrigger(60);
// Scheduler에 Job과 Trigger를 설정
scheduler.scheduleJob(jobDetail, trigger);
// Scheduler 실행 시작
scheduler.start();
}
} |
<?xml version="1.0" encoding="utf-8"?>
<quartz>
<job>
<job-detail>
<name>ScanFTPSiteJob</name>
<group>DEFAULT</group>
<description>A job that scans an ftp site for files</description>
<job-class>ScanFTPSiteJob</job-class>
<job-data-map allows-transient-data="true">
<entry>
<key>FTP_HOST</key>
<value>homecavanessinbound</value>
</entry>
<!-- 다른 필요한 Job 파라미터들을 여기에 둔다 -->
</job-data-map>
</job-detail>
<trigger>
<simple>
<name>ScanFTPSiteJobTrigger</name>
<group>DEFAULT</group>
<job-name>ScanFTPSiteJob</job-name>
<job-group>DEFAULT</job-group>
<start-time>2005-09-11 6:10:00 PM</start-time>
<!-- 계속 60초마다 반복 실행 -->
<repeat-count>-1</repeat-count>
<repeat-interval>60000</repeat-interval>
</simple>
</trigger>
</job>
</quartz> |

Quartz 프레임워크의 보다 많은 기능들을 사용해 나갈수록, User and Developer Forum은 Quartz 사용자들과의 질문/답변 및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매우 유용한 자원이 될 것이다.
[출처] http://blog.naver.com/drods/90058779461